Travel Photos321 캄보디아 동남아 최대의 호수 톤레삽[Tonle Sap] 호수 가는길 오늘은 툭툭이를 타고 동남아시아 최대의 호수 톤레삽호수를 보러갑니다 차로 30여분 걸린다고하니 툭툭이로는 그 이상 걸리겠지죠 오늘도 역시 많이 더운 날이네요 올드마켓을 지나는데 우리나라 아줌마,아저씨들 쇼핑에 여념이 없네요^^ 캄보디아 처녀,총각 데이트 가나본데 얼굴에 수줍음이 가득하죠 아마도 사귄지 얼마 안되는듯 싶은데....^^ 정말 더운날인데도 모자,마스크,장갑에 긴치마까지.... 하얀피부가 인기많은 베트남이나 태국같이 여기도 태양을 피하느라 더위쯤은 상관이 없나봅니다 미인이 되는길은 역시 험난하네요 도심지를 벗어나니 도로가 한산하고 그 많던 오토바이도 간간히 보입니다 날도 더운데 길거리 구멍가게에서 션한 콜라한잔 하고 가야겠네요 대낮에 젊은이들이 빈둥빈둥....사실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별로 없.. 2010. 6. 10. 캄보디아 제2의 도시 씨엠립[Siem Reap] 걸어서 둘러보기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서 북서쪽으로 300Km정도 떨어진 제2의 도시 씨엠립 앙코르와트를 지척에 두고 있다보니 여행객들에게 이곳은 마치 베이스캠프와도 같은곳이다 씨엠립은 캄보디아어로 '패배한 타이'란 뜻이란다 예전엔 태국땅이었는데 프랑스에 의해서 캄보디아로 바뀌면서 이런 이름이 생긴듯 한데.... 전날 5시간의 비포장길을 달려 늦은밤 도착하다보니 피곤함이 극에 달해 해가 중천에 와서야 숙소를 나왔다 리틀도쿄란 숙소인데 이곳은 씨엠립의 랜드마크격인 스타마트근처에 있다 하룻밤 숙박비가 당시에 6달러 였는데 핫샤워되고 티비있는 여느 숙소가 10달러 정도였으니 운좋게도 상당히 저렴하게 얻었다 씨엠립의 첫 인상은 여느 동남아의 일반적인 도시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고 생각보다 깔끔했다 그런데 어찌나 한국사람.. 2010. 6. 7. 태국 방콕에서 캄보디아 씨엠리업까지 육로로 국경 넘어가기[아란-포이펫] 내가 여행을 하며 처음으로 육로 국경을 넘었던 곳이 바로 태국 아란에서 캄보디아 포이펫을 통해 앙코르와트를 갔을때다 지금은 태국에서 캄보디아 씨엠리업까지 한번에 간다고 들었는데 당시에는 결코 만만한 코스가 아니었다 보통은 터미널이나 여행자버스를 이용해서 국경까지 가는데 나는 조금 다른 방법을 이용하기로 했다 태국인들이 캄보디아 카지노를 이용할수 있도록 카지노에서 국경까지 버스를 운영한다는 얘기를 어느 여행자한테 들었던거다 일단 방콕 시내에 있는 룸피니공원 앞으로 가니 공원입구에 2층버스가 한대 서있어 물어보니 국경인 아란까지 간단다 직원한테 200밧인가를 지불하고 버스에 오르니 돈많아 보이는 태국 아저씨들이 몇몇 자리에 있었다 국경까지 오는데 훌륭하진 않지만 도시락과 물도 주고 태국아저씨들이 간식도 나눠.. 2010. 6. 6. [지뢰박물관]캄보디아 씨엠리업의 앙코르와트에는 사원만 있는게 아니다 앙코르와트를 3일간 돌았는데도 그 방대한 사원들을 전부 보진 못했다 사실 비슷비슷한 사원도 많고 조금 지루함을 느낄무렵 툭툭이 기사가 데려간곳이 지뢰박물관이었다 캄보디아는 기나긴 내전을 겪으면서 상당히 많은 지뢰들이 매설됐고 아직도 회수되지 못한 지뢰들이 많다고 한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민간인들이 겪고 있는데 아키라라는 사람이 박물관을 만들어 그 위험성을 알리며 지뢰제거 작업을 하고 있단다 많은 한국사람들이 방문하는듯 입구에 한글로 지뢰박물관이라고 써있고 실제 많은 한국여행객들이 있었다 이곳은 지뢰외에도 다양한 폭탄이 전시되있는데 사람키를 훌쩍 넘는것도 부지기수다 빨래를 하는 수돗가에 애완용으로 키우긴 좀 큰 이름모를 새가 거닌다^^ 안으로 들어서니 정말 다양한 지뢰와 폭팔물들이 전시 되있는데 정말 섬뜩.. 2010. 6. 6. 중미산에서 바라본 밤하늘의 별천지 경기도 가평의 중미산 자연휴양림 통나무집 발코니에서 바라본 밤하늘의 별천지 발코니에서 하늘을 올려다보니 북두칠성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언능 카메라 셋팅하고 1시간30분정도를 담았더니 별이 제법 많이 잡혔네요 40분정도 찍고 몇분 멈추고 찍었더니 별이 중간에 조금 끊겼네요^^; 발코니에서 하늘이 잘 보여 굳이 나가지 않고 편하게 밤하늘을 담았네요 2010. 6. 5. 옛날에 연인들은 가지말아야 할곳 첫번째인 덕수궁 옛날엔 덕수궁 돌담길을 연인이 걸으면 헤어진다는 말이 있었다 아마도 그때는 갈곳이 없어서 연인이라하면 덕수궁을 한번쯤은 다 가봤지 않았을까 헤어진 연인이 생각날때면 아름다운 덕수궁 돌담길을 걸었던 추억이 새록새록나서 이런말이 나왔을것 같다 이 사진을 외국인 친구와 찍으러 갔었는데 마침 문닫을 시간에 가서 아쉬웠는데 외국인이라고 직원분이 들어가게 해줬다 그래서 이렇게 고즈넉한 고궁의 야경을 담을수 있었던 행운을 잡았다 덕수궁안에는 영국인이 설계한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이 있다 2010. 5. 29. 여름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바닷가 해운대 여름이 되면 어김없이 오늘 해운대에 몇십만의 인파가 몰렸다느니 하는 뉴스가 흘러 나온다 그만큼 여름하면 떠오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은 역시 해운대인것 같다 특히나 나는 해운대가 좋은데 아마도 일때문에 부산에서 1년넘게 있었기에 더 애착이 가는것 같기도 하다 부산엘 가면 가장 먼저 해운대 앞에 있는 이 건물 옥상을 찾는다 이곳은 옥상이 정원으로 개방이 되있는데 전망이 어찌나 좋은지 날씨 좋은날엔 저멀리 대마도도 보인다 수평선에 점같이 보이는 섬은 그 유명한 오륙도다 해운대의 왼쪽은 이쁜 카페들이 있는 달맞이 고개가 있다 앞에 보이는 섬이 오륙도인데 물때에 따라 섬이 다섯개 또는 여섯개로 보인다고 해서 오륙도라고 부른다 해운대의 밤은 역시나 아름답다 이때가 부산국제영화제기간이라 바닷가에서 무료 공연.. 2010. 5. 29. 광화문의 수호신 이순신장군 광화문하면 도로 한복판에 우뚝 서 계신 이순신장군이 떠오른다 지금은 광화문이 새롭게 바뀌었는데 이 사진은 바뀌기 전에 찍은거다 얼마전 티비에서 40년전 경제가 어려워서 동상을 만들때 순수 구리가 아닌 선박엔진과 놋그릇을 사용했다고 한다 아무려면 어떠리 우리에겐 여전히 훌륭한 충무공 이순신인걸... 문뜩 요즘같은 시기에 이순신 장군님 같은 분이 계셨으면 천안함 같은 일은 없었지 않았을까란 생각을 해본다 2010. 5. 29. 공연장의 메카 세종문화회관 우리나라 공연장의 메카 세종문화회관....뭐 요즘은 예술의 전당이라 하는이도 있겠지만...^^; 1972년 서울시민회관이 불타 없어지고 그 자리에 6년후인 78년 지금의 세종문화회관이 생겼단다 90년도 지금으로부터 딱 20년전에 이곳에서 클래식 공연을 봤었는데 일주일간 공부하고 보러간 기억이 난다^^ 회관하면 왠지 딱딱해 보이는데 야간 조명을 이쁘게 밝혀서 제법 멋스런 건물이 된것 같다 2010. 5. 29. 남이섬의 연인들.... 겨울연가의 배경으로 더욱 유명해진 남이섬 드라마에선 겨울 남이섬이 나왔지만 개인적으로 단풍이 물든 남이섬을 제일 좋아한다 이곳에 오면 모두가 드라마의 주인공이 되는데....나는 오늘 카메라를 손에 쥔 스텝이다^^ 2010. 5. 29. [태국 치앙마이 / 도이뿌이] 몽족마을을 가다 치앙마이를 가면 누구나 한번쯤은 가본다는 도이수텝....그 길의 끝은 도이뿌이다 누군가 오토바이를 타고가면 기름을 가득 채워도 돌아올때 부족할수 있다라는 말을 듣고 가보지 못했다 그러던중 차를 렌트해서 막상 가보니 그리 걱정할 거리는 아니었다 도이수텝을 조금 지나면 태국 왕실의 별장인 뿌삥궁전이 나오는데 거기서 마을까지 썽태우가 운행을 한다 이 썽태우를 이용하면 기름 걱정은 안해도 될듯 싶다 아무튼 뿌삥궁전에서부터 내리막길로 한참을 내려가니 넓은 주차장이 나온다 한켠에 추차를 하니 가운데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가 보인다 입구부터 형형색색의 옷과 스카프등 핸드메이드 제품을 파는 가게들이 늘어서 있고 여기저기서 바느질에 여념이 없는 몽족여인네들이 보인다 바느질하는 엄마를 빤히 쳐다보는 아이의 눈망울이 이쁘다 .. 2010. 5. 26. 뉴질랜드 아름다운 밀키블루 색을 발산하는 데카포호수 뉴질랜드 밀포드사운드를 향해 가는길에 너무도 아름다운 호수가 눈에 들어온다 밀키블루로 표현되는 옥빛의 물을 품고 있는 데카포호수 저멀리 만년설에서 2만년간 빙하에 의해 침전된 퇴석이 갈려있어 이런색을 발산한다고 한다 데카포호수는 규모도 엄청나서 길이 38킬로미터 넓이 36킬로미터로 해발 700여미터의 수위를 유지하고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을 볼수 있습니다] 저 멀리 보이는 산은 해발 3,764미터의 아오라키 마운틴쿡인데 아오라키는 마오리말로 '구름을 찌르는 것'이라는 뜻이란다 일정상 잠시 머무를 수 밖에 없었지만 그 여운은 지금까지도 가슴을 설레이게 한다 뉴질랜드 다시 가보고 싶은데 데카포 호수만으로도 다시 갈 이유는 충분할듯 싶다 2010. 5. 1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